수학을 어려워하는 이유와 해결방안

안녕하세요.

 

 

 

 

 

 

수학을 어려워하는 이유와 해결방안

 

 

 

오늘은

수학을 어려워하는 이유와 해결방안

이라는 제목으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그럼 시작해 볼까요?

 

 

 

 

 

수포자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수학을 포기하는 학생들을 

줄여서 수포자라고 하는 것을

다들 한 번씩은 

들어 보셨을 겁니다~

 

그렇다면

수학을 포기하는 이유가 

도대체 무엇일까요?

 

 

 

수학을 포기하는 이유

 

 

 

 

짧게 요약해서 말씀드려 보자면~

 

 

 

 

수학문제를 외워서 푸는 학생

문제를 마치 그림처럼

통으로 보는 학생으로,

 

숫자만 달라져도

손을 못 대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또, 개념을 다 알겠는데

점수가 안 나오는 학생의 경우에는

 

점수가 안 나오니까 

자신감이 점점 떨어져

수학에서 점점 손을 놓게 

되는 것인데요~

 

결국 수학 문제를

풀지 못하기 때문에

수학 문제 보기를 

점점 피하면서

손을 놓게 되는 것이겠네요~

 

 

 

 

 

그렇다면

수포자가 될 것 같은

학생들에게

 

해결책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더 높은 점수가 

나오지 않는 학생에게는

무엇이 더 필요한 지

오늘 한번 

알아보도록 합시다!

 

 

출제자의 의도 파악

 

 

내신 문제에서 더욱 유용할 것입니다~

 

사실 전 범위를 다루는 수능에서도

일맥상통하기는 하지만,

범위가 좁은 학교 시험은

 

더욱 유리하겠죠^^

 

 

 

 

 

학교 중간, 기말고사의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시험 범위 속 풀이로

문제를 풀려고 노력해야 한답니다~

 

그래야 실마리를 잡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원의 방정식이

이번에 시험범위라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무조건 원의 중심과

원 위의 한 점까지의

거리가 같다고 

식을 세우며 들어가야 합니다!

 

또한 수능에서도

이 문제가 어느 파트인지

빠르게 파악해서

그 풀이법의 식이 나올 수  있도록

접근해야 합니다!

 

 

학교 교과서별 내신 대비 교재를 활용한다.

 

 

문제의 출제자

학원 선생님이 아닌

 

학교 수학선생님이라는 것을

간과할 때가 간혹 있는 것

같은데요~

 

학교 선생님은 

교과서로 수업을 하기 때문에

문제도 교과서에서

활용해서 출제하게 된답니다~

 

 

 

 

 

그러면 교과서 속 문제는

어디서 나왔을까요?

 

교과서 속 문제들의

활용 문제들이

 

같은 출판사의 시험대비 교재에

같이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교과서를 몇 회독 푼

학생은 필시 교과서와

같은 출판사의 내신대비 교재로

다시 한번 확인해 보는 것이

필요하답니다~

 

 

학교 선생님이 주신 서브 프린트물을
꼭 자기 것으로 만들기

 

저희들의 목표는

수학자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대학을 가기 위해 

학교 내신 점수를 잘 받는 것에

의미가 있겠죠^^

 

 

 

 

그렇기 때문에 학교 점수를 

높게 받기 위해서는

 

시험 문제를 낸 

학교 선생님들의

관점으로

 

시험을 대비해야 합니다!

 

학교 프린트물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되겠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프린트물을 나눠주는 이유는

교과서에 없는

고난도 유형들을 알려주지 않은 채

시험에 낼 수 없으니

결국 알려주고 낸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목표인 

학교 내신을 잡기 위해서는

 

수학자가 될 것처럼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점수를 올리기 위해

효율적으로

시험에 나올만한 것을

공부해야 한답니다~

 

프린트물 속 문제들만 

맞추어도 고득점이 될 수 있을 만큼

중요하다는 점

꼭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수학을 어려워하는 이유와 해결방안

이라는 제목으로

포스팅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https://www.naeil.com/news_view/?id_art=482344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