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방학 과학1등급 공부법 고등과학 중등과학 2028대입개편안

안녕하세요.

 

 

 

 

 

오늘은

겨울방학 과학1등급 공부법

이라는 제목으로

포스팅합니다~

 

시작합니다^^

 

 

겨울방학 과학1등급 공부법

 

 

 

2028 대입 개편안이 

발표된 이후로

과학 과목이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암기력, 이해력, 계산 실력까지

두루 갖추어야 하는 과탐

공부 부담이 만만치 않기에

학생들도 긴장을 하고 있습니다~

 

 


과학을 어떤 순서로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문과 계열 전공을

염두에 두고 있는

학생들은 당황스러울 겁니다~

 

 

그러나 아직 시간이 있으니

대입 개편의 핵심을

정확히 파악하여

차분히 준비하면 되겠습니다^^

 

 

고1 통합과학 공부법

 

 

 

통합과학은 중학 과학과

고교 과학을 잇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기 때문에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을

모두 다루죠~

 

방대한 내용을 다루다 보니

교과서 설명이 자세하지 않습니다

 

기본기가 허약하면 이해가

어려울 수 있답니다~

 

우선 통합과학의

전체적 구성을

파악한 다음

물화생지 중에서

 

 

 

 

학생이 중등과정에서

어렵다고 느꼈던 부분을 공략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물리, 화학을

방학 특강을 이용해서

먼저 보는 식입니다~

 

한번 봐서는 내용 이해가

잘 되지 않을 것입니다~

 

머릿속에 전체적인

맵을 그릴 수 있을

수준까지 여러 번 복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적을 올릴 수 있는 구체적인 과학 공부법

 

 

과학은 국어적 감각,

수학적 센스가 필요한

과목입니다^^

 

문제의 맥락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물론,

 

논리적으로 사고하며

계산 실수까지 없어야 합니다!

 

 

 

 

암기가 뒷받침된 개념학습은

너무나도 중요합니다^^

 

예비 고1, 2 중에는

조급한 마음에

개념 대충 훑고

문제풀이로 급하게 넘어가는

학생이 많은데,

 

그럴 경우 시험에서 실수가 많답니다~

 

 

 

그런 학생들의 공통적인

오류 증 하나가

고난도 문제에 집착하는 것입니다.

 

시험에선 실수하지 않고

풀 수 있는 문제를

100% 다 맞추는 게 중요합니다!

 

 

3점 문제 끙끙거리느라

맞출 수 있었던 2점짜리

문제를 틀리면

 

성적은 늘 제자리걸음입니다.

 

 

구체적인 내신 과학시험 공부방법

 

 

통합과학 내신 시험에서도

마찬가지로,

 

물리 파트의 까다로운 역학 문제도

물론, 중요합니다. 하지만,

 

 

그것만 붙잡고 매달리기 전에

우선 화학 파트의 주기율,

중화 반응 등 비교적

쉬운 부분을 개념부터

차근차근 완벽하게 소화하는 게

먼저입니다.

 

 

성적은 순서를 정해

전략적으로 공부해야 올라간답니다~

 

 

 

생명과학1의 내신과 수능을
효율적으로 준비하는 방법

 

 

생명과학은 단어 한두 개

바꿔 출제하면 틀릴 수 있는

함정 문제들이 많습니다.

 

 

 

가령 RNA를 염색체의

구성 요소라고 하면 틀린 문장이고

DNA를 염색체 구성 요소라고 하면

맞는 문장이 됩니다.

 

 

이처럼 생명과학은

점 하나까지 암기하라는 이유가

이것 때문입니다~

 

 

 

 

생물체의 특성, 신경계 항상성,

방어 작용 등

1~3단원은 암기할 용어는

많지만, 내용이 어렵지는 않으니까

오히려 이런 파트는 무조건

맞출 수 있도록 공략하세요!

 

다만 유전흥분의 전도 같은

어려운 단원은

6개월~1년 시간 투자가

필요합니다!

 

 

어려운 문제를 먼저 풀기보다는

시간을 투자해

차근차근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원별 방학 특강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오늘은

겨울방학 과학1등급 공부법

이라는 주제로

포스팅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https://www.naeil.com/news_view/?id_art=484597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