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 논술 적성고사 대비

오늘은 수능 전 면접, 논술, 적성고사

앞두고있는 학생을 위한 대비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면접 






수능 전 면접고사가 있다면 

수능 학습에 지장이 없는 선에서 

주 1~2회 정도 틈틈이

 면접 준비를 하는 것이 좋아요.

대학마다 면접 유형이 다르므로, 

지원 대학의 면접 방식 및 특징을 꼼곰히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제출 서류를 토대로 내용을 확인하는 

서류 기반 면접이라면 내 학교생활기록부 및 

자기소개서 파악이 급선무 입니다. 

특히 학교 생활 기록부 내용 중 

면접관의 흥미와 관심을 끄는 부분은 

자기소개서에 적지 않은 것이라도 

충분히 질문으로 나올 수 있으므로, 

사소한 부분까지도 꼼꼼히 확인해 

예상 질문 및 답변을 만들어 연습하세요!



2. 논술 





수능 전 논술고사의 경우 사실상 

주어진 시간이 매우 촉박하다는 점에서 

지금에 와서 논술을 위한 

기본 개념을 학습하는 건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수능과 마찬가지로 논술 역시 

지금부터는 '실전'에 초점을 맞춰 

효율적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예컨대 지원한 논술전형의 답안 작성 방식 및 

사용 가능 필기도구 등을 두루 파악한 뒤 

이에 맞추어 실전처럼 모의 논술시험에

임해보는 것이죠. 


실제 고사 시간을 활용해 

기출 논술 또는 모의논술을 풀어보되,

답안 작성 방식 및 시험 시간을 

반드시 엄수하여 실전처럼 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3. 수능 대비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적용되는 전형에 지원했다면 수능은 

대학별고사 대비 이상으로 신경 써야 할 요소입니다.

예컨대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적용되는

논술전형의 경우 절반 혹은

 그 이상의 지원자들이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불합격한다는 점을 기억하자!


논술 경쟁력이 있어도 정작 수능 대비가 

미흡하면 결과는 불합격일 수밖에 없는 것이죠.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대학별고사 전형에 지원한 수험생에게도

수능 대비는 중요합니다.



출처: 에듀 동아


http://www.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01014104553657953&titleGbn=&page=1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