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수리논술 변화 내신 중요성
새롭게 변한 수리논술은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에서만 출제됩니다.
즉 이 말의 의미는!!
고등학교 교과과정인수학(상), 수학(하),
수학 l, 수학 ll,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가
수리논술의 범위에 해당된다는 것을 의미하죠~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7.gif)
2022년부터 선택형 수능이
도입되면서부터 수리논술을
준비하는 자연계 학생들의
출제범위는 직접적, 직간접적인 범위로
분류될 수 있어요.
직접적인 범위가 본인의 수능선택과목과
동일한 범위라고 한다면 선택과목이 아닌
(기하 또는 미적분)을 논술에서
반드시 학습해야 하는 상황이면
직간접적 범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 간접적 범위는 무엇인가?'라는
의문에는 수리논술의 기본이 되는
고등수학(상)(하)를포함한
각 고등학교마다 1년에 4번씩
시행하는 내신수학입니다.
수리논술이 과거에는 내신과 수능준비와는
별개로 준비해야 해서
수험생들에게 부담감으로 작용하였지만
현 수리논술의 출제범위는
내신 - 수능 - 수리논술이 같은 교육과정으로
연계되어 있어요!
수리논술의 정확한 정의를 내려 본다면
수리논술의 정의는
"수학적 개념에 바탕을 둔 논리적 서술"이
정확한 의미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수학적 개념에 바탕을 둔"
이라는 의미는 고교과정을 학습함에 있어
수학교과서에 접할 수 있는 모든
수학개념을 말합니다.
따라서 고교 1학년, 2학년, 3학년
학생들이 이러한 수학개념의
완성여부의 측정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은
매 학기마다 시행하는
중간과 기말에 걸쳐 시행되는
지필고사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수밖에 없어요!
따라서 수능이나 논술전형에
있어서의 내신 수학의 학습은
수학적 개념 정립의 시작이며,
최근 고급화된 내신 서술형 기출문제들은
수리논술에서 지향하는 본질적인 이해능력,
사고능력, 창의능력을
기를 수 있는 좋은 문제들이 출제되는
경향이 강하기에 추후 수능수학과
수리논술 학습에 대한 선행과정이라
할 수 있어요~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30118173253455739
'정수학 전문학원의 수학공부 > 기초부터 차근차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학생 2023 학력평가 체계적인 학습 계획과 전략 세워요 (0) | 2023.02.23 |
---|---|
수학 같은 유형끼리 묶어서 공부하는 TIP (0) | 2023.02.21 |
실패 계획표 말고 실천할 수 있는 계획표 짜기 (0) | 2023.02.16 |
중등 수학의 새로운 개념 익히려면! (0) | 2023.02.14 |
베다 수학 vedic mathematics 계산 빠르고 쉽게하는 법 (0) | 2023.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