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수리논술 변화 내신 중요성

새롭게 변한 수리논술은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에서만 출제됩니다.

즉 이 말의 의미는!!

 

고등학교 교과과정인수학(상), 수학(하), 

수학 l, 수학 ll,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가

수리논술의 범위에 해당된다는 것을 의미하죠~

2022년부터 선택형 수능이

도입되면서부터 수리논술을

준비하는 자연계 학생들의

출제범위는 직접적, 직간접적인 범위로

분류될 수 있어요.

직접적인 범위가 본인의 수능선택과목과

동일한 범위라고 한다면 선택과목이 아닌

(기하 또는 미적분)을 논술에서 

반드시 학습해야 하는 상황이면 

직간접적 범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 간접적 범위는 무엇인가?'라는

의문에는 수리논술의 기본이 되는

고등수학(상)(하)를포함한 

각 고등학교마다 1년에 4번씩

시행하는 내신수학입니다.

 

수리논술이 과거에는 내신과 수능준비와는

별개로 준비해야 해서

수험생들에게 부담감으로 작용하였지만

현 수리논술의 출제범위는

 

내신 - 수능 - 수리논술이 같은 교육과정으로

연계되어 있어요!

수리논술의 정확한 정의를 내려 본다면

수리논술의 정의는

"수학적 개념에 바탕을 둔 논리적 서술"이

정확한 의미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수학적 개념에 바탕을 둔"

이라는 의미는 고교과정을 학습함에 있어

수학교과서에 접할 수 있는 모든

수학개념을 말합니다.

 

따라서 고교 1학년, 2학년, 3학년

학생들이 이러한 수학개념의

완성여부의 측정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은

매 학기마다 시행하는

중간과 기말에 걸쳐 시행되는

지필고사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수밖에 없어요!

따라서 수능이나 논술전형에

있어서의 내신 수학의 학습은

수학적 개념 정립의 시작이며,

최근 고급화된 내신 서술형 기출문제들은

수리논술에서 지향하는 본질적인 이해능력,

사고능력, 창의능력을

 기를 수 있는 좋은 문제들이 출제되는

경향이 강하기에 추후 수능수학과

수리논술 학습에 대한 선행과정이라

할 수 있어요~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30118173253455739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