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러문항 학생들의 학습방향
"킬러문제를 중심으로 막판
정리를 시작해야 할 때에
그게(킬러문항) 안 나온다고 하니 놀라죠"
킬러문항이 상위권 학생만의 유불리를
따질 수 있는건 아니에요.
중하위권 학생은 킬러 문항을 풀지
못할 것이라고 단정하면 안 된다는 거죠.
가령 국어 과목에서
킬러 문항 지문이
'과학 정보'를 바탕으로 했을 때,
평소 과학에 관심이 많은 학생은
맞출 가능성이 높아요.
이로 인한 등급 상승의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죠!
영어는 상위 20% 집단 내에서
변별력이 거의 없다고 봐야 합니다.
상대평가로 남은 국어, 수학 중 한 과목이라도
쉽게 출제되면 자칫 그해는
어려운 한 과목에 의해 결판나요.
그러니까 국어, 수학 모두 변별력 있는
문제 두 세개가 들어가게 되죠.
너무 익스트림한 문항이라면
그중 하나는 소프트하게 해서
'준킬러 문항'개수를 늘렸는데,
그 해 아이들 학력 수준에 따라
'킬러 문항'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거예요.
출제자가 쉽고 어렵고를
예상할 수도, 또 예상 대로 가지 않고 있는 게
현재 상황입니다.
학생들의 학습 방향을
어떻게 설정해야 하느냐?
무리하게 찾아서 공부할 필요는
없더라도 안 나올것이라고 단정해
쉽게 공부하면 안돼요.
실제 시험장에서는
긴장감 때문에 평소 실력의
60~70%밖에 보여줄 수 없는 점을
감안해서 평소 하드 트레이닝을 해두는 게 좋습니다.
출처
http://woman.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110896
'정수학 전문학원의 수학공부 > 기초부터 차근차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수학 문제집 풀 때 꼭 실천해요 (0) | 2023.08.04 |
---|---|
예비중학생 초등때와는 달라지는 수학 공부 (0) | 2023.08.03 |
중학교 수학 개념 학습법 (0) | 2023.07.31 |
고2 정시 수시 수능 예상 등급으로 전략 짜자 (0) | 2023.07.27 |
수학 자신감 생기고 성취감 느끼려면 (0) | 2023.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