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수학 킬러 문항 공략 하려면?
최근 그동안 보지 못했던
신유형 문제들이
과목마다 조금씩 출제되고 있어요.
수학 과목에서의 난이도
있는 문제들은 3문제 정도로
번호까지 고정되어 있었지만
최근 그 공식도 깨져가고 있습니다.
대책을 서 있지 않은 수험생들
에게는 심리적인 부담감이
높아질 수밖에 없어요 ㅠㅠ
통상적으로 킬러 문항으로 일컬어지는
어려운 수학 과목
문제들은 수능 시험의
21, 29, 30번으로 정해져 있을
정도로 정형화되어 있어요.
하지만 점점 그 공식이 바뀌면서
킬러 문항보다 조금 난이도가
낮은 상 난이도 문제들이
시험 문제의 앞뒤로
배치되기 시작했어요~
이로 인해 수험생들의 긴장과
부담감이 더 커지기 시작했습니다.
비교적 쉬운 난이도의
앞 쪽 문제는 되도록
빨리 풀어놓고 뒤쪽의 킬러
문항에 많은 시간을 배분해
풀어내곤 하던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수 있죠~
특별한 신유형은 없고
질의의 형태가 다를 뿐이니
이렇게 생각하고 공부하면서
평정심을 찾고
문제를 풀기 시작하면서
두려움을 완화시켜야 합니다.
신유형은 사실 기출문제를
복잡 유형으로 만들어 놓은
문제일 뿐 아주 새로운
문제는 아니기 때문에
자신감을 가지고 풀어나가면 됩니다~
평소 문제를 많이 접해보지 못했거나
기출문제에 대한
충분하 정리가 되어 있지 않은
수험생이라면 조심해야 할 것이 있죠.
출제된 문제의 질문 형태가
평상시와 다르게
보이거나 바로 수식화 된
언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거나
처음 본 문제 형태에 두려움을
가지게 되면 문제 풀이가 빨리
이뤄지지 않습니다~
고등학교 수학 교육 과정에
제시된 수학의 기본 개념, 원리, 법칙에
충실한 이해가 기본적으로
바탕에 있고 문제에 대한 인식을 한 후
바로 개념을 적용해 볼 수 있다면
새롭게 보이는 문제 유형도
걱정할 필요가 없어요~
출처: 내일 신문
'정수학 전문학원의 수학공부 > 기초부터 차근차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1 수학 공부 문제를 잘 푸는 법 (0) | 2020.12.08 |
---|---|
중학생 수학공부 효과를 높이려면 (0) | 2020.12.04 |
수학 공부 좋은 습관 기르기 (0) | 2020.11.27 |
수학 암기를 잘하려면 어떻게 하는지가 중요합니다 (0) | 2020.11.26 |
예비고1 수학을 잘하기 위한 공부법~ (0) | 2020.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