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면접 질문 종류 지식형 의견형 상황형 행동형

 

대다수 대학들은 일반적인

입학 전형 방법으로 질문을 하고, 

또 학생의 답변 여하에 따라 

추가 질문을 하게 됩니다.

이처럼 개별면접은 여러 면의

면접관들로부터 집중적으로 

질문을 받게 됨으로써 긴장감을

느낄 수도 있지만, 지원자가 지니고 있는

능력을 객관적으로 충분히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죠. 

더구나 가벼운 인사말이나 신상과 

관련된 질문으로 지원자들의

긴장을 풀어주는 형식을 보이며, 

기본 교양 평가를 진행하게 되면서, 

수학 적성 평가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질문의 종류도 살펴야 합니다. 

 

지식형 질문은

무엇을 알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으로

일반적인 구술시험의 형태를 말하죠.

이는 전공 교수들이 주도하여 

면접하는 경우이고, 간단한

전공 관련 지문을 주고 읽게 

한 다음, 전공적합성을 평가해요

 

의견형은 즉 철학이나 가치관을 

묻는 질문으로 사회 현상에 대한

생각을 묻거나, 인생관, 좌우명, 사고능력을

묻게 됩니다. 다른 질문들과 적절하게

연결될 때 가치가 있는데, 

이유로는 피면접자들이 

솔직하게 답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죠.

결과적으로 인성을 파악하기에 

적합한 질문으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해요.

 

상황형은 쉽게는 가상의 상황을 제시하고 

그러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할지를

묻는 질문입니다.

응시자들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응답하면 좋아요~

즉 다른 상황질문과 연결하여

실시하게 되니, 반복학습이 중요하죠~

 

행동형 질문은

과거의 행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물어보고 행동 속에 나타난

특성과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적합한 인재인지를 판단하게 됩니다.

또한, 가장 타당도가 높게 나타나는

질문으로서 전공적성을 파악하기에 

적합한 질문이니, 철저한 분석과

연습이 필요하죠.

결과적으로 상황, 과제, 행동, 결과를

묻는 특성이 있으니 주의해야 해요!

 

끝으로 심층 면접에서의 

평가 내용도 중요해요. 

내신 성적이나 수능이 제대로 

측정 혹은 평가할 수 없는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이나

창의력, 분석 및 종합 능력, 

논리적인 판단력, 문제 해결력 등

 사고 기능을 평가해요.

또한, 가치관이나 성격, 예의범절, 

사회성, 지도성 등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기도 하며, 

교과 혹은 전공 관련 적성이나 태도,

전공 관련 지식과 기능, 동기, 발전 가능성 등을

평가하니 미리보기식으로 학습해도 좋아요!


http://edu.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7/09/2021070900617.html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