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평가와 모의평가의 차이점

올해는 학력평가 성적자료

유출 여파로 4월 모의고사가 예외적으로

5월로 미뤄지는 특이사항이 있습니다.

6번의 모의고사 가운데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건

 6월과 9월 시험이죠.

'학평'과 '모평'간 뚜렷한 성격차이 때문입니다.

 

1. 학력평가 

 

3월, 4월, 7월, 10월 시험 - 학평

교육청 주관의 모의고사

전국연합학력평가의 줄임말!

 

전국 단위 시험이라는 점에서

모평과 동일하지만

모평과는 달리 재학생만 응시 가능해요~

 

수능출제기관이 아닌

교육청이 문제를 출제하기 때문에

실제 수능의 출제경향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측면이죠.

 

2. 모의평가

 

6월, 9월 시험 - 모평 

대학수학능력시험모의평가의 줄임말

수능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

수능 출제 기관이 직접 문제를

낸다는 점에서 당해 수능의 유형을

파악하는 바로미터라 할 수 있죠.

 

수험생의 능력 수준을 파악하고

실제 수능의 적정 난이도를 유지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수험생에게 새로운 문항 유형과 수준에

대한 적응 기회를 제공한다는 취지도 있습니다.

 

응시대상의 범위도 학평과 차이가 있죠!

 

고등학교뿐만 아니라 학원 등

사설기관에서도 시험을 칠 수 있기 때문에

재수생도 응시가 가능합니다.

실제 수능이 재수생도 응시한다는 점에서

모평 성적이 학평 성적에 비해

보다 객관적인 잣대로 취급받는 것은 당연합니다.

통상 상위권 졸업생이

시험에 합류하는 까닭에

학평 성적보다 더 떨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해요~

 

같은 모평이지만 6월 모평과 

9월 모평 간의 성격 차이도 염두에 둬야 해요~

9월 모평에서는 6월 모평에 응시하지

않았던 상위권 중심의 반수생이

합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죠.

9월 모평이 본인의 위치를

파악하기에는 보다 더

유리한 셈입니다!


 

출처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51089

TAGS.

Comments